티스토리 뷰

1214 A. 조약돌 순서

처음에 $[1, 2, 3, ..., K]$이 적혀있는 크기 $K$인 배열 $A$가 있다. $i = 1$부터 시작하여 $A_i$와 $A_{i+1}$의 값을 바꾼다. 그리고 $i$를 $1$ 증가시킨다. 만약 $i = K-1$이라면 다음 $i$의 값은 $K$가 아니라, $1$이 된다. 바꾸는 작업을 $N$ 번 하였을 때, 최종 배열의 상태를 구하는 문제다.

 

값을 바꾸는 횟수 $N$이 최대 $10^{18}$로 굉장히 크다. 바꾸는 작업을 $K \times (K-1)$ 번 하면 배열이 원래 상태로 돌아오고, 바꾸는 작업을 $K-1$ 번하면 맨 왼쪽에 있던 값이 맨 오른쪽으로 가는 것을 알 수 있다. 이 점을 이용하여, $O(K)$ 시간복잡도에 해결할 수 있다.

더보기

1214 B. 짝 맞는 문자열

A, B, C로 이루어진 길이 $N$인 문자열이 주어진다. 이 문자열에서 최소 개수의 문자를 제거하여 같은 문자가 두 개씩 반복되게 하는 문제다. 즉, 제거할 문자를 모두 제거한 후, $1$ 이상인 $i$에 대해 $2i-1$ 번째 문자와 $2i$ 번째 문자가 같아야 하며, 이 둘이 같으면 짝이 맞는다고 하자.

 

D[i][j] = 문자열의 길이 $i$인 접두사에서 상태가 $j$일 때 제거하고 남은 문자의 최대 개수라고 정의하자.

상태 $j$는 만약 모든 문자가 짝이 맞는다면 $j = 0$, 맨 마지막 문자를 제외한 모든 문자가 짝이 맞는다면 $j$는 맨 마지막 문자로 정의한다.

 

문제에서 요구하는 답은 D[N][0]이 되며, 이 DP 배열은 시간복잡도 $O(N)$만에 구할 수 있다.

더보기

1214 C / 1519 A. 빙고

$N \times M$ 크기의 빙고판이 있다. 칸에 적힌 수는 알 수 없고, 사회자가 부르는 수도 알 수 없다. $i$ 번째 행을 완성하면 $A_i$점을 획득하며, $j$ 번째 열을 완성하면 $B_j$점을 획득한다. 사회자가 번호를 $K$ 개 부를 때, 얻을 수 있는 최대 점수를 구하는 문제다.

 

$r$ 개의 행을 먼저 완성한다고 하자. 그러면 불러야 하는 수의 개수는 $r \times M$개다. 그 뒤로 열만 완성한다고 했을 때, 완성시킬 수 있는 열의 최대 개수는 $\lfloor\frac{K - r \times M}{N-1}\rfloor$로 정해진다. 획득할 수 있는 점수가 높은 행들과 열들을 우선적으로 완성하는 것이 제일 좋다. $0$ 이상 $N$ 미만인 모든 $r$에 대해 완성시킬 수 있는 열의 개수를 구하고, 점수를 계산하여, 그중 가장 높은 점수를 구하여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. 단, $K = N \times M$인 경우에 대한 예외 처리가 필요하다. 시간복잡도는 $O(N+M)$이다.

더보기

1214 D / 1519 B. 야찌

$1$ 이상 $6$ 이하의 수가 적힌 $N$ 개의 카드가 있는 카드 더미가 있다. 그리고 5장의 종이가 있다. 각 턴마다 카드 더미 위에서 카드 5장을 뽑아 순서대로 종이에 적는다. 그리고 최대 한 번 수를 지울 종이를 고르고, 카드 더미에서 카드를 다시 뽑아 지운 종이 위에 수를 적을 수 있다. 만약, 종이 5장에 적힌 수가 모두 같다면 야찌다. 카드 더미에 대한 정보가 주어졌을 때, 가능한 야찌의 최대 횟수를 구하는 문제다.

 

D[i] = 카드 더미에서 총 $i$ 장의 카드를 뽑았을 때, 할 수 있는 야찌의 최대 횟수라고 정의하자.

 

문제에서 요구하는 답은 $\max(D_i)$이다. 한 턴에 뽑을 수 있는 카드의 최대 개수는 10장이므로, $O(N)$ 시간에 DP를 구현할 수 있다. 다만, $N$의 최대값이 $10^6$이므로, 구현에 따라 시간초과가 날 수도 있다. 아래 첨부된 코드는 비트마스크를 이용한 전처리 작업으로 최대한 상수를 줄였다.

더보기

1214 E. 삼각

정점 $N$ 개와 양방향 간선 $M$ 개로 이루어진 그래프가 주어진다. 각 간선에는 길이가 있다. 정점 $S$가 주어진다. 정점 $S$에서 시작하여 어떤 정점 $A$로 이동했다가, 다른 정점 $B$로 이동하고, 다시 정점 $S$로 돌아오는 경로 중에 정점 $S$를 중간에 방문하지 않으면서 가장 길이가 짧은 경로를 구하는 문제다.

 

이 문제 풀이의 핵심 아이디어는 서로 인접한 정점 두 개를 정점 $A$와 정점 $B$만 답의 후보로 두어도 문제에서 요구하는 답을 올바르게 구한다는 점이다. 즉, 입력으로 주어진 정점 $S$에서 각 정점으로 가는 최단 거리를 구한 뒤, 정점 $a$와 정점 $b$를 연결하는 길이 $c$인 간선이 있다면, 정점 $S$에서 정점 $a$로 오는 최단 거리 값 + 정점 $S$에서 정점 $b$로 오는 최단 거리 값 + $c$를 구하고, 그중 가장 작은 값을 구하면 정답을 구할 수 있다. 시간복잡도는 $O(N + M \lg N)$이다.

 

문제 풀이와 크게 상관 없는 관찰 중, 답이 되는 싸이클에 포함된 간선의 개수는 최대 $4$ 개라는 것도 증명할 수 있다. 이 점을 이용하여, 서브태스크를 해결할 수 있다.

더보기

1519 C. 덧셈 프로그램

크기 $N$인 정수 배열 $A$가 있고, $M$ 개의 명령어로 구성된 프로그램이 있다. 명령어는 $A_i$에 $A_j$를 더하는 꼴을 한다. 이 프로그램을 총 $L$ 번 실행하는데, 각 실행마다 배열의 초기값이 다를 수 있다. 각 실행마다 프로그램이 종료되는 시점에서 $A_1$의 값을 구하는 문제다.

 

크기 $N$인 정수 배열 $B$를 생각하자. $B$의 초기값은 $B_1 = 1$이고, 나머지는 $0$이다. 배열 $B$에서 입력으로 주어진 프로그램의 명령어를 반대로 실행한다. 명령어의 순서도 반대가 되어야 하고, $A_i$에 $A_j$를 더하는 명령어가 있다면, $B_j$에 $B_i$를 더하자. 실행 이후의 $B_i$ 값은 주어진 프로그램에서 $A_i$의 초기값이 최종적으로 $A_1$에 몇번 더해졌는지를 나타낸다.

 

이를 이용하여 각 프로그램 실행마다, 프로그램이 종료되는 시점에서 $A_1$의 값을 빠르게 구할 수 있다. 초기값이 $0$이 아닌 $A_i$의 총개수를 $K$라고 했을 때, 시간복잡도는 $O(M+L+K)$이다.

더보기

1519 D. 적절한 점

$x$ 좌표가 $1$ 이상 $W$ 이하이며, $y$ 좌표가 $1$ 이상 $H$ 이하인 2차원 정수 좌표 공간이 있다. 여기에 $K$ 개의 점 집합이 있다. 그리고 각 집합에 대해 $C_i$ 값이 입력으로 주어진다. 적절한 점이란, 모든 $i$에 대해 점 집합 $i$에서 그 점보다 $x$ 좌표가 같거나 작고, 그 점보다 $y$ 좌표가 같거나 작은 점의 개수가 정확히 $C_i$가 되는 점을 말한다. 이때, 적절한 점의 개수를 구하는 문제다.

 

풀이의 아이디어는 간단하다. 어떤 $x$ 좌표에 대해 적절한 점은 연속된 구간으로 표현된다. 각 점 집합에 대해 독립적으로 적절한 점의 $y$ 좌표 구간을 구하고, 교집합을 구하면 된다.

 

좌표 압축과 자료 구조를 이용하여 빠른 시간복잡도로 구현할 수 있다. 전체 점의 개수를 $N$이라고 했을 때, 풀이의 시간복잡도는 $O(N \lg N)$이다.

더보기

1519 E. 지름길

정점 $N$ 개와 양방향 간선 $M$ 개로 이루어진 그래프가 주어진다. 각 간선에는 길이가 있다. 정점 $S$와 정점 $T$가 주어진다. 정점 $S$에서 정점 $i$로 가는 최단 거리와 정점 $i$에서 정점 $T$로 가는 최단 거리가 유지되도록 최소 개수의 간선만 남기는 문제다.

 

이 문제 풀이에 대한 접근은 최단 거리 트리(Shortest-path tree)를 생각해보면 된다. 정점 $S$에 대한 최단 거리 트리와 정점 $T$에 대한 최단 거리 트리가 원래 그래프와 동일하도록 최소 개수의 간선만 남기면 된다. 이 점을 생각해보면, 문제에서 요구하는 답은 최대 $2(N-1)$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.

 

최소 개수의 간선을 남겨야하므로, 최대한 많은 간선이 정점 $S$에 대한 최단 거리 트리와 정점 $T$에 대한 최단 거리 트리에 동시에 존재하는 것이 유리하다. 두 최단 거리 트리에 모두 존재할 수 있는 간선 후보들을 구한 뒤, 그 후보 중에서 동시에 존재할 수 있는 간선의 최대 개수를 구하면 된다. 동시에 존재할 수 있는 간선의 최대 개수는 이분 그래프에서 최대 매칭을 통해 구할 수 있다. 최대 매칭의 개수가 $F$라고 하면, 답은 $2(N-1) - F$가 된다. 이분 매칭은 Hopcroft-Karp 알고리즘을 구하는 것이 가장 빠르며 이 문제를 해결하는 전체 시간복잡도는 $O(N + M \sqrt{N})$이다.

 

풀이의 원리를 이해했다면, 남겨야하는 간선을 구하는 것은 간단하다. 첨부된 코드를 참고하자.

더보기
댓글
공지사항
최근에 올라온 글
최근에 달린 댓글
Total
Today
Yesterday
링크
«   2025/01   »
1 2 3 4
5 6 7 8 9 10 11
12 13 14 15 16 17 18
19 20 21 22 23 24 25
26 27 28 29 30 31
글 보관함